[김대호의 경제읽기] 라면·과자 값 인하 속 '아이스크림' 가격 인상<br /><br /><br /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7월 들어 라면과 과자, 빵 일부 가격이 내려갔지만, 여름철 대표 먹거리인 아이스크림의 가격은 좀처럼 떨어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 소비자 물가가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한 2년 전과 비교하면 아이스크림 물가 상승률은 20% 가까이 올랐다고 하는데 가격이 오른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소비자단체들은 아이스크림도 라면과 과자처럼 가격 인하에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. 담합으로 얻은 이익을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차원에서라도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 강조했는데 무슨 이야기인가요?<br /><br /> 한편, 아이스크림 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원유 가격 연동제를 통해 이번 8월 우유 가격이 인상될 전망이기 때문인데요. 아이스크림뿐만 아니라 '밀크플레이션'으로 하반기 식품 가격이 인상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는데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6월 무역수지가 11억 3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. 국내 월간 무역수지가 흑자를 기록한 건 지난해 2월 이후 16개월 만의 일인데 어떤 의미가 있나요? 장기간의 무역 적자 상태에서 벗어났다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하지만 무역수지 흑자 전환이 지속될 수 있을지 여부에는 물음표가 붙고 있습니다. 이번 무역수지 흑자 전환은 수출보다는 수입 감소세에 힘입었기 때문인데 이 부분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무역수지가 흑자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향후 반도체 성적의 반등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. 이번 주에 삼성전자 2분기 잠정 실적이 발표될 예정인데 시장에서는 어떻게 전망하고 있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